일단 Constraint Layout은 처음에 접근하기 어려워보였다.
처음 배울때도 그렇고 강의나 교수님 얘기를 들어봐도 Linear Layout이나 Relative Layout으로 그냥 쓰라고한다.
아무래도 다른것에 비해 비중도가 낮기 때문에 그랬던것 같다.
하지만 이제 배울때가 된 것 같다.. 프로젝트에 ConstraintLayout으로 짜있는 xml이 적잖이 많아 무시할수가 없었다..
센치한 개발자님 유튜브를 보고 개념을 잡았다.
xml유형으로는 크게 3가지로 볼수있다.
- Linear layout -선형
- Relative layout -관계
- Constraint layout -관계
리니어 : 계층구조가 복잡하다. 퍼포먼스가 부족하다.
릴레티브 : 멀티 디바이스 대응에 한계가 있다.
콘스트레인트 : 퍼포먼스가 뛰어나다. 멀티 가능
콘스트레이언트를 사용할 때 두가지만 알면된다.
1. 기준
2. 대상
ex) A - B
1. A의 오른쪽면 / A의 오른쪽
2. B
id 필수로 넣고 그걸 기준삼아 적으면된다.
Baseline, gone
'Before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droid 그래프 그리기 / MPandroidChart 라이브러리 (0) | 2020.05.15 |
---|---|
android flavor(앱 분리) (0) | 2020.05.15 |
안드로이드 개발시 주의해야할 3가지 보안성 (0) | 2020.03.27 |
데이터 베이스, SharedPreference (0) | 2020.03.16 |
Tablayout, Pager (0) | 2020.03.16 |
일단 Constraint Layout은 처음에 접근하기 어려워보였다.
처음 배울때도 그렇고 강의나 교수님 얘기를 들어봐도 Linear Layout이나 Relative Layout으로 그냥 쓰라고한다.
아무래도 다른것에 비해 비중도가 낮기 때문에 그랬던것 같다.
하지만 이제 배울때가 된 것 같다.. 프로젝트에 ConstraintLayout으로 짜있는 xml이 적잖이 많아 무시할수가 없었다..
센치한 개발자님 유튜브를 보고 개념을 잡았다.
xml유형으로는 크게 3가지로 볼수있다.
- Linear layout -선형
- Relative layout -관계
- Constraint layout -관계
리니어 : 계층구조가 복잡하다. 퍼포먼스가 부족하다.
릴레티브 : 멀티 디바이스 대응에 한계가 있다.
콘스트레인트 : 퍼포먼스가 뛰어나다. 멀티 가능
콘스트레이언트를 사용할 때 두가지만 알면된다.
1. 기준
2. 대상
ex) A - B
1. A의 오른쪽면 / A의 오른쪽
2. B
id 필수로 넣고 그걸 기준삼아 적으면된다.
Baseline, gone
'Before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droid 그래프 그리기 / MPandroidChart 라이브러리 (0) | 2020.05.15 |
---|---|
android flavor(앱 분리) (0) | 2020.05.15 |
안드로이드 개발시 주의해야할 3가지 보안성 (0) | 2020.03.27 |
데이터 베이스, SharedPreference (0) | 2020.03.16 |
Tablayout, Pager (0) | 2020.03.16 |